금융당국이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의 화재 이후 금융권 영향을 점검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금융권과 함께 논의했다.
29일 금융위원회(금융위)는 지난 27일, 28일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국자원 화재 발생과 관련한 긴급 대응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권 부위원장을 비롯해 금융위 관계자들이 참석했고 금융감독원, 유관기관(한국거래소·금융결제원·예탁결제원 등), 협회·중앙회(은행·생보·손보 등)에서도 자리했다.
금융권은 이번 화재로 신분확인 절차, 행정기관 연계 금융서비스, 우체국 연계 금융서비스에서 장애가 예상된다고 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국자원 장애 복구 상황과 각 금융사 현장 확인 등을 거쳐 세부적인 금융서비스 장애 상황, 조치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이번 사태의 위기경보를 '심각'단계로 인식하고 있으며 대응체계도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금융위원장)'로 격상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가치로 해 현장에서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금융회사 업무 연속성 계획 차원에서 어떤 사고에도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해킹 등의 침해사고, 보이스피싱 등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 정보보호와 보이스피싱 대응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금융위가 사태 안정화까지 금융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금융사들이 소비자 보호 목적의 적극적인 조치 시 사후에 불이익을 받지 않는 비조치의견서도 적용하는 방안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드림]
관련기사
- 신한금융, ‘2025 신한 퓨처스랩 베트남 데모데이’ 개최
- 서금원, ‘경남동행론 직접대출’ 출시… 지자체와 금융취약계층 지원 강화
- 서금원, 마이데이터 앱서 '휴면예금 찾아줌' 서비스 개시
- 서민금융진흥원, 상반기 휴면예금 1635억원 찾아줘…전년 대비 20% 증가
- 코빗 리서치센터,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 보고서 발간
- 외환 무역사기 피해 지속…피해액 약 1330억원
- 금감원의 '카드 도난·분실 신고 간소화'…업계 "글쎄" 왜?
- [기자수첩] "빚투도 투자"…금융당국은 '투기 조장위원회'인가
- [현장] "금융복지상담센터 지역 양극화, 법제화로 해결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