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식음료 업계에서 ‘미니 사이즈’가 새로운 성장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고물가 환경과 칼로리·당 섭취를 세밀하게 관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맞물리며 소용량 제품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싱글서브(단일 섭취) 포장 시장은 2024년 약 104억 달러에 달하며, 2030년까지 연평균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필요한 만큼만 소비한다’는 심리가 가격 경쟁력을 넘어 건강과 지속가능성까지 반영한 새로운 구매 기준으로 자리 잡은 셈이다.
국내에서도 실제 사례가 잇따른다. 버거킹은 최근 기존 버거 메뉴를 한 입 크기로 줄인 ‘베이비 버거’ 시리즈를 선보이며, 가성비·테이스팅 수요를 동시에 공략했다. 음료업계 역시 ‘한 손에 쏙’ 들어오는 RTD(Ready to Drink) 미니 포맷을 확대하고 있다. 남양유업 ‘초코에몽 미니 무가당(120mL)’은 온라인 중심으로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다. 설탕 무첨가 설계와 100kcal 미만의 부담 없는 열량, 휴대성 높은 사이즈로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폭넓게 선택받고 있다.
스낵·디저트 영역에서도 롯데웰푸드 ‘크런키 초코바 미니 옥동자’가 출시 이후 단기간 완판을 기록했고, SPC 파리바게뜨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두고 1~2인 기념 수요를 겨냥한 미니 케이크 라인업을 확대했다.
해외 시장에서도 ‘작은 패키지’가 뚜렷한 흐름이다. 코카콜라는 내년 1월부터 미국 전역 편의점에 7.5온스(약 222mL) 미니캔 단품을 선보인다. 기존 대형마트에서 멀티팩으로만 판매되던 미니캔을 편의점 1회용 포맷으로 확대한 것이다. 코카콜라는 “미니캔을 통해 신규 소비자 유입과 카테고리 확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사전 테스트에서도 대용량 제품 잠식 없이 추가 매출이 확인돼 검증된 성장 동력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작은 제품’이 아닌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기반한 포맷 혁신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미니 제품은 합리적 가격대와 적정량을 제공하면서도, 브랜드의 건강·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며 “특히 1~2인 가구 증가, 온라인·편의점·배달 플랫폼 중심의 구매 채널 변화, 환경을 고려한 낭비 최소화 인식이 맞물리며 미니 포맷의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뉴스드림]
